"One Way Ticket"은 이별 후 앞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표현한 곡입니다. 가사에서 ‘블루스로 가는 편도 티켓’을 타고 떠난다는 내용은 사랑을 잃고 슬픔 속으로 빠져드는 심정을 상징합니다. 하지만 이 곡은 신나는 디스코 리듬을 가지고 있어, 우울한 느낌보다는 경쾌한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원래 이 곡은 Neil Sedaka가 1959년에 발표한 노래였으며, 1978년에 Boney M이 디스코 스타일로 새롭게 편곡하여 더욱 흥겨운 곡으로 재탄생했습니다. 슬픈 가사와 밝은 멜로디가 대조를 이루는 것이 Boney M 특유의 스타일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입니다.
Boney M - One way ticket 주제 :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로 인한 슬픔과 절망
'One Way Ticket'은 경쾌한 멜로디와는 대조적으로,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로 인한 깊은 슬픔과 절망감을 '편도 티켓'이라는 상징을 통해 강렬하게 전달하는 곡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곡은 1978년에 보니 엠이 발표하여 큰 인기를 얻었지만, 원곡은 1959년 닐 세다카가 발표한 곡입니다.
이별의 슬픔: 가사는 사랑하는 사람이 떠나가는 상황과 그로 인한 깊은 슬픔을 묘사합니다. 'Bye bye love my baby's leavin' me'라는 가사는 이별의 아픔을 직접적으로 표현합니다.
외로움과 절망: 떠나간 연인으로 인해 느끼는 외로움과 앞으로 혼자 남겨질 것에 대한 절망감을 노래합니다. 'Now lonely teardrops are all that I can see'라는 가사는 슬픔에 잠긴 화자의 감정을 보여줍니다.
돌이킬 수 없는 이별: 'One way ticket to the blues'라는 후렴구는 이별이 되돌릴 수 없는 '편도 티켓'과 같다는 비극적인 상황을 은유적으로 나타냅니다. 'Never comin' back'이라는 가사 역시 이별의 영원성을 강조합니다.
슬픔을 여행에 비유: 'Gotta take a trip to lonesome town / Gonna stay at heartbreak hotel'과 같은 가사는 슬픔과 고통을 '외로운 도시로의 여행'과 '상심의 호텔에 머무는 것'에 비유하여 더욱 절절하게 표현합니다.
Boney M - One way ticket 가사와 해석
Choo, choo train, chuggin' down the track
칙칙폭폭 기차가 소리를 내며 선로를 따라 와요
Gotta travel on, never comin' back
여행을 떠나 다신 돌아오지 않을 거예요
Woo, wooh got a one way ticket to the blues
우~ 슬픔으로 가는 편도선표 한 장 있어요
Bye, bye love my baby's leavin' me
안녕 내 사랑, 내 사랑이 날 떠나요
Now lonely teardrops are all that I can see
이제 내가 볼 수 있는 거라곤 외로운 눈물방물뿐
Woo, ooh got a one way ticket to the blues
우~ 슬픔으로 가는 편도선표 한 장 있어요
I'm gonna take a trip to lonesome town
외로운 마을로 여행 가
Gonna stay at heartbreak hotel
상심의 호텔에 묵을 거예요
A fool such as I that never was
나 같은 바보는 다신 없을 거예요
I cried a tear so well
아주 잘 울기만 했죠
Boney M - One way ticket 듣기
'듣고 싶은 팝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ney M - By The Rivers Of Babylon 주제 가사 해석 듣기 (1) | 2025.05.02 |
---|---|
Bon Jovi - You Give Love A Bad Name 주제 가사 해석 듣기 (1) | 2025.04.22 |
Bon Jovi - It`s my life 주제 가사 해석 듣기 (1) | 2025.04.18 |
Bon Jovi - Always 주제 가사 해석 듣기 (1) | 2025.04.17 |
Bobby McFerrin - Don't Worry Be Happy 주제 가사 해석 듣기 (0) | 2025.04.07 |